Surprise Me!

[차이나워치] 바이든, '보이콧' 검토에…갈 길 먼 미중 긴장완화

2021-11-19 0 Dailymotion

[차이나워치] 바이든, '보이콧' 검토에…갈 길 먼 미중 긴장완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에 대한 '외교적 보이콧'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중 정상회담이 열린 지 불과 사흘만인데요.<br /><br />미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서 중국의 반응 들어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 발언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나왔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조금 전 중국 외교부의 반응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적 보이콧 검토 발언에 대해 "신장 문제에 대해 간섭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스포츠를 정치화하는 것이라고 맞섰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 의회와 시민단체,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한 일부 국가에서의 '보이콧' 움직임이 계속됐지만,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반응에 관심이 쏠렸는데요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"(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'외교적 보이콧'에 지지하십니까?)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백악관에서 열린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 전,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나왔습니다.<br /><br />'외교적 보이콧'은 선수단은 보내지만, 올림픽 개·폐막식에 정부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선수들의 올림픽 참여는 보장하면서도, 개최국 중국에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겠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 정부가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은 워싱턴포스트 신문의 보도를 통해 전해졌는데요.<br /><br />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어제(18일) 정례브리핑에서 "추측성 보도에는 논평을 하지 않겠다"고 답하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이 실제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보이콧에 나설 경우 미중 관계에 큰 악재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.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앞선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시진핑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직접 '올림픽 초대장'을 보낼 것이란 관측도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실제 회담에서는 이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혹시라도 바이든 대통령이 거절했을 경우 나타날 후폭풍을 고려해 언급을 자제한 것이란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중국으로서는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내년 가을 제20차 당대회를 앞두고 '중국의 우월성'을 대내외에 알릴 수 있는 기회라고 믿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미국 국무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 문제를 동맹국과 논의하고 있고, 계속 논의하겠다고 밝힌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미 유럽 여러 국가들도 외교적 보이콧을 저울질하고 있는 가운데, 미국이 보이콧을 최종 결정한다면 중국이 어떤 방법으로 대응에 나설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이번 보이콧 검토 사유로 신장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문제는 꾸준히 지적돼 온 문제였지만, 중국은 인정할 수 없다는 반응 아니었습니까?<br /><br />접점을 찾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신장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두고는 중국과 서방이 오랫동안 접점을 찾지 못하는 갈등 사안입니다.<br /><br />지난 3월에는 유럽연합과 미국, 영국, 캐나다 등이 신장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이유로 중국 인사들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었고요.<br /><br />이에 중국 소비자들은 아디다스와 나이키, H&M 등 신장산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한 글로벌 브랜드를 대상으로 불매운동을 벌이며 맞섰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세계 43개국이 유엔에서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을 비판하는 성명을 내자, 쿠바를 비롯한 친중 성향 국가 62개국이 중국 내정에 간섭하지 말라며 반박 성명을 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신장은 중국 전체 면적의 17%를 차지하고 있으며, 자치구 내 인구 2천500만 명 가운데 약 45%는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족입니다.<br /><br />중국 내 소수민족 가운데 독립 성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, 중국 당국은 이곳에 2018년부터 집단 수용시설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방 국가들은 이곳에서 강제 노동은 물론 종교와 소수민족 탄압, 심지어 성폭행도 이뤄지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지만, 중국 당국은 '직업교육 시설'이라며 맞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측이 요구하는 현장 조사 요구를 중국 당국이 수용하지 않으면서, 갈등과 공방만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중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와 함께 핵심 쟁점으로 다뤄진 게 대만 문제였는데요.<br /><br />여전히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다음 달 9일과 10일 화상으로 열리는 '민주주의 정상회의'에 대만의 참가를 시사한 것입니다.<br /><br />민주주의 정상회의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사항으로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를 규합해 권위주의 체제에 맞서겠다는 성격으로 진행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 등을 견제하기 위한 성격인데요.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이 대만 문제를 두고 대치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 외교 무대에 대만이 정식으로 초청받아 등장할 경우 '하나의 중국' 원칙을 주장해 온 중국의 반발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, 미중 화상 정상회담에서도 대만 문제는 첨예한 의제로 다뤄졌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'하나의 중국' 원칙을 유지한다면서도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는 일방적 행동에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시 주석도 이에 "대만 독립·분열 세력이 도발하고, 레드라인을 넘을 경우 단호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"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대만은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최신형 F-16 전투기 64대를 확보해 실전 배치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차이잉원 대만 총통도 전투기 조종석에 앉아 있는 모습을 공개하며 중국에 대한 '항전 의지'를 내비쳤는데요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평가 절하했습니다.<br /><br /> "그들(대만 분리주의자)의 행동은 '계란으로 바위 치기'이며, '개미가 나무를 흔드는 것'입니다. 미래가 없을 것입니다."<br />...

Buy Now on CodeCanyon